History

최초의 염료는 이집트의 고분에서 발견된 유물 및 그리스로마의 문헌에 의하면 BC 2000년 혹은 그 이전부터 이집트에서 염색이 상당한 규모로 실시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사용된 염료는 동식물성의 천연염료로서 지중해산 조개류에서 얻은 보라색의 티리언 퍼플(Tyrian purple)이 가장 대표적인 염료였다

 

염료에는 크게 원료로 구분하여 천연염료와 인조염료(합성염료)로 나눌 수 있다.

그것을 또다시 염색성 면에서 직접성, 매염성, 분산성등으로 분류하여 나눌 수 있고, 인조염료의 경우 다시 세분화 하여 안트라퀴논계, 아조계 염료등의 화학구조면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분류도는 이러하다.

 

 





1. 천연염료

( 1 ) 종류에 따른 염료분류

1 )식물성 염료

식물의 꽃. . 뿌리. 수피. 수목심재. 열매 등에서 염료를 추출염색하는 식물로서 종류를 크게 초근(草根) 색소, 목피(木皮)색소, 화과(花果)색소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천연염료로는 치자, 황백. 울금 등을 들을 수 있다

2 )동물성 염료

동물계에서 얻을수 있는 염료로서 곤충(昆蟲) 패류(貝類), 그밖의 동물로 구분되며 코치닐. 커미즈(우리나라에서는 연지충이라 부름). 보라조개(우리나라에서는 군소라 부름). 오배자. 합화목층 등이 있으며. 다색성 염료로 구분할 수 있어 매염을 동행하여 염색한다.

+참고+

다색성 염료란!!

대부분 식물염료가 여기에 속하며 매염제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 발색되는 염료로 꼭두서니. 자초. . 도토리. 닭의장풀(계장초). 오배자. 석류. 매실나무. 소방목. . 동백. . 강황등 수많은 식물이 해당되며 가열하여 추출 또는 찧어서 생으로 염색하는 방법등이 있다.


     3 )
광물성 염료

흙을 대표적으로 하여 무기안료,.유기성 안료로 나눌 수 있다. 광물성 염료 염색은 섬유를 금속염으로 처리한 후 염색하여 섬유 중에 불용성 안료를 생성하는 것이다.

1무기성 안료  : 산화물 혹은 황화물로 고대에는 천연생태의 것을 갈아서 동굴의 벽화를 그릴 때 사용하였다. 그러나 무기안료는 물에 풀어서 채색하면 금방 벗겨져 버리므로 찹쌀미음이나 아교, 동물의 기름 등을 전착제로 사용하였으며 현대에 와서는 콩즙을 이용하고 있다. 무기성 안료에는 벵가라, 황토, 연단, , 군청, 감청 등이 있다.

2유기성 안료  : 유기안료는 수지라고 할수있으며 용해한 염조에 조제.약품을 가하여 추출하고 수용성이 되도록 한 것으로 남납(회화용). (홍화의 홍색소). 코치닐 수지(벌레를 분말로 만든 홍색의 안료 및 염료) 등을 들을 수 있다.


( 2 )
색상계열에 따른 염료 분류

1)청색계 식물염료

식물청색에는 쪽풀. 닭의 장풀. 붓꽃 등이 있고 녹색에는 붓꽃.단풍나무.개옷나무, 참쑥. 괴화. 황백. 매자나무. 졸참나무 등이 있으며 광물로는 에머럴드펄과 옥돌석의 Green색이 있다.

2)적색계 식물염료

식물적색은 꼭두서니. 홍화. 생강나무. 소방목. 소목. 괴화. 자작나무. 갈참나무 등이 있고, 자색은 소목. 동백. 포도. 등이 있으며 광물에는 비샤브라운석과 화산재의 Brown, 황토의 적색등이 있다.

3)황색계 식물염료

식물황색은 치자. 노목. 회화나무. 양파. 황벽. 황련. 정향나무. 자소. 울금 등이 있으며 갈색에는 소목. 오리나무. 개오동나무. 밤나무. 상수리나무. 소나무 등 제일분포가 넓게 이어져 있으며 광물로는 황토석의 Yellow가 있다.

4)흑색계 식물염료

식물 흑색은 노목. 양매. 석류. 계수나무. 주목. 붉나무. 연자각. 오배자. 진피. 상수리나무 등이며 회색에는 석류나무, 졸참나무, 단풍나무 등이 있으며 광물로는 엡솔루트 블랙과 현무암의 Black색상 등이 있다. 식물에서는 매염에 따라 색의 계열이 달라지는 현상에 같은 식물이라도 여러 가지 색의 계열로 나눌수 있다.




2.
인조(합성)염료

그 성질에 따라 직접성, 매염성, 환원성, 발색성, 분산성, 반응성, 특수염료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염료가 각기 사용되는 것은 색소분자가 염료로서 섬유에 단단히 고정되기 위해서는 섬유가 필요로 하는 염료분자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최초의 합성염료는 호프만과 그의 조수인 퍼킨(W. H. Perkin, 1838 ∼ 1907)은 석탄 타르의 성분인 톨루이딘으로부터 키니네를 합성하는 도중 우연히 선명하게 착색되는 색소를 발견했다(1856). 이것은 비단을 아름다운 자색으로 착색시킬 수 있어서 모빈(mauvein)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그 후 퍼킨은 이 염료를 개량하여 1857년에 모브라는 합성염료회사를 설립하게 되었다. 염료의 합성은 이와 같은 화학적인 기초연구와 합성기술의 발달, 산업형태의 변화 등에 힘입어 점차로 발달하여 왔다. 그 중 특히 중요한 것은 독일의 그레베(K. Graebe, 1841∼1927) 및 리베르만(K. Liebermann, 1842∼1914)이 발견한 알리자린과 아돌프 폰 바이어가 발견한 인디고의 합성이다.

 

( 1 )직접성 염료

1 )직접염료 : 직접염료 [ direct dye ]

, , 레이온 등 셀룰로오스계 섬유나 모, 견 등의 동물 섬유에 매염제(媒染劑)를 사용치 않고 직접 염색하는 염료이다. (직접성 또는 직염성이라고 한다) 염색할 수 있는 색상의 범위는 넓지만, 색은 선명하지 않고 칙칙하게 되기 쉽다. 또한 일광견뢰도도 낮다. 예로부터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포르말린 처리를 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고착제가 사용되어 진다. 환원제(還元劑)를 가하면 탈색되므로 발염(拔染)의 바탕염색에 쓰인다. 염색방법이 간단하고 값이 싸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디스아조염료트리스아조염료 등이 주요하다.

2 )산성 염료 [ acid dye ]

물에 녹고, 음이온성을 지닌 염료이다. 산성염료는 산성 수용액 속에서 양모나일론 등 아미드계 섬유를 염색하는 것으로서 직접 염료에 비해 분자량이 적다. 주체는 아조염료이며 이 밖에 안트라퀴논 염료가 견뢰한 염료로서 많이 사용된다. 산성염료는 나일론에 대한 염색성이 양모와 다소 다른 점이 있기 때문에 나일론 염색용과 양모 염색용으로 구분하여 시판된다.
 

+참고사항+

산성염료는 양모에 대한 염색성에 따라 균염형, 반미링크형, 미링크형의 세 가지 형으로 분류된다. 균염형 염료는 분자량이 비교적 적은 염료로 균염성이 좋기 때문에 주로 포목의 염색에 사용되고 있으나, 습윤 견뢰성이 불량하다. 반미링크형 염료는 분자량은 중간 정도이고, 습윤 견뢰성과 균염성의 밸런스가 좋은 염료로, 주로 포목의 염색에 사용한다. 미링크형 염료는 분자량이 많고 습윤 견뢰도가 좋은 염료로 주로 원사나 파라모 등의 선염색에 이용되고 있으며, 미링크 공정에서 견디는 염료라는 의미로 미링크 염료로도 불린다.

 

3 )염기성 염료 [ basic dye ]

염기성염료는 중성 또는 약산성 수용액 속에서 견양모 등 동물성 섬유에 직접 염착한다. 주체는 아조디페닐메탄트리페닐메탄계이고, 염료가 수용액 속에서 양이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카티온 염료라고도 한다. 보통 카티온염료로 부르는 것은 아크릴섬유용으로 개발된 새로운 형의 염기성 염료로 아크릴에는 매우 선명하고 아름다운 색으로 염색되고 일광과 열에도 강하다. 개량된 물질인 폴리에스테르(카티온 가염 폴리에스테르)도 염색할수 있다.

 

( 2 )매염성 염료 [mordant dye, 媒染染料]

천과 염료의 관계를 중개해 주는 물질을 '매염제'라고 하며, 이러한 염색법을 매염염색이라고 한다. 매염 염료는 어느 섬유에나 직접 염색되지 않으므로 금속염의 매염제로 섬유를 처리한 후에 염색하면 섬유상에 유색 레이크(lake)가 염색된다. 일광이나 세탁에 의한 퇴색은 적다. 매염제가 다르면 다른 색으로 염색되기 때문에 다색성염료(多色性染料)라고도 한다. 염색법이 복잡하고 얼룩지기 쉬우며 선명한 색이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산성매염염료(acid mordant dye/ 산성염료와 매염염료와의 중간적 성질을 가지는 염료이다.)나 금속착염염료등에 대체되고 공업적인 염색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고 있다. 다만 천연염료(天然染料)에는 매염염료가 많다.

 

( 3 )환원성 염료

1 )건염염료 [ vat dye ]

이것은 염료 자체만으로는 물에도 녹지 않고 또 섬유에도 친화력이 없는 것을 일단 다른 화합물의 형태로 섬유에 흡착시켜 놓고 그 후 원래의 염료의 형태로 환원하여 발색시키는 것이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이 공정을 커다란 통속에서 처리하였기 때문에 배트 염료(vat dye)라고 명명하였다. 면이나 마에 적당한 염료로 양모나 나일론, 비닐론에도 일부 가능하다. 안트라퀴논계인디고이드계 등이 주류이며, 수세와 일광에 대한 견뢰도가 높고 색상이 다양하여 선명하게 염색된다. 식물계 염료인 남(), 인디고는 건염염료의 전형이다.

2 )황화(유화)염료 [ sulfur dye ]

면용 염료. 불용성. 황화나트륨 용액으로 환원 용해, 섬유에 흡수시킨 후 공기 산화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 발색한다. 건염 염료와는 환원제가 다르다. 무명•비닐론 등의 염색에 사용되며, 견뢰도도 비교적 높다. 흑색, 갈색, 적색계이다.

 

( 4 )발색성 염료

1 )나프톨 염료 [ naphthol dye ]

셀룰로오스용 고급 염료. 사용 전에는 완성된 색소가 아니며 섬유상에서 생성되는 불용성의 아조 염료 또는 아조익 염료라고도 한다. 그라운더 (=커플링 성분-디아조늄염과의 짝짓기 반응으로 아조 염료를 부여하는 중간물)를 섬유에 흡수시켜 현색제(디아조 성분)의 디아조액 중에서 처리 발색한다. 그라운더가 나프톨 유도체이므로 이렇게 부른다. 또 현색제의 디아조화는 빙냉(氷冷)을 요하므로 아이스 염료혹은 냉염염료라고도 한다.

2 )산화염료 [ oxidation dye ]

섬유에 염착시킨 다음, 산과 접촉시켜 물에 녹지 않은 염료로 변화시킨 염료이며 아닐린블랙이나 머리 염색용의 파라민블랙이 대표적. 무명이나 견직물을 염산아닐린의 무색 수용액에 담그고, 이어서 염소산나트륨·황산구리·다이크로뮴산나트륨 등 산화제의 수용액을 통하여 산화시키면, 섬유 속에 스며든 아닐린이 흑색안료인 아닐린블랙으로 변하여 검게 물든다. 산화염료를 아닐린 염료라고도 한다. 값이 싸기 때문에 학생복이나 우산의 천 등에 대량으로 사용된다. 일광이나 세탁에도 강하다.

 

( 5 )분산염료 [ disperse dye ]

분산염료에는 물에 잘 녹지 않아서 미세한 가루로 만들고, 계면활성제등의 분산제를 써서 물에 콜로이드(1 나노미터에서 1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크기를 갖는 입자)에 가까운 상태로까지 분산시켜, 섬유 속에 염료를 용해시켜서 염착(染着)하는 염료이다. 아세테이트 인견(人絹)의 염색용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아세테이트염료라고도 한다. 아조 및 안트라퀴논계 염료가 주류를 이룬다. 견뢰도는 좋으나, 염색한 천을 다림질할 때나 또는 저장 중에 흰 천에 전염(轉染)하고, 또한 대기 속에 존재하는 산화질소류의 작용으로 퇴색하는 결점도 있기는 하다. 아세테이트 인견, 폴리에스터계 합성섬유, 폴리아마이드계뿐만 아니라 합성섬유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계 합성섬유의 염색에 이용된다.

 

( 6 ) 반응성염료 [ reactive dyestuff ]

    주로 면, , 모시, 레이온, , 한지 등에 사용하는 염료로서 알칼리 존재하의 염욕에서 섬유와의 공유결합에 의해서 염착이 이루어진다. 물에 잘 녹고 직접염료보다 견뢰도가 우수하다. 또한 색상이 선명하고, 침투성과 균염성이 우수하고, 염색가능한 섬유범위가 넓은 장점 때문에 최근 공예 염색에 많이 쓰이고 있는 염료이다.

 

( 7 )특수염료

1 )형광염료[ fluorescent dye ]

흰 천이나 종이를 보다 희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자외선을 흡수하여 일정한 파장의 가시광선을 형광으로서 발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이것을 형광증백(螢光增白)이라고 한다. 무명•종이•양모•합성섬유의 증백에 사용되며, 스틸벤계옥사졸계이미다졸론계쿠말린계 등 많은 종류가 있다

2 )안료수지염료 [ pigment resin color ]

단순히 피그먼트, 안료라고도 한다. 엄밀히는 염료가 아니고 섬유에 수지로 고착시켜서 날염무늬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한다. 색상의 범위도 넓고 선명하며 주로 중간색, 엷은색, 흰색의 배색으로 쓰인다. 일광에는 강하지만 마찰이나 드라이 클리닝에는 약하다. 입체감은 나지만 안료가 칠해진 부분에는 빳빳한 촉감을 주게 된다. 윤기가 있는 피륙에 날염하면 안료의 부분에는 광택이 없어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안료의 입자가 작아 예쁘게 올라오고 약점은 주로 수지에서 오기 때문에 수지의 선택과 개량이 중요하다. 안료를 수지로 고착시키므로 어느 섬유에나 응용할 수 있다.

 

  

 



3.
염색공정 개요


( 1 )
염색이 되는 과정


일반적으로 염료가 섬유에 염착되는 과정은 1.염액속에서 섬유표면으로의 염료의 확산

2.섬유표면에 염료의 흡착 3.섬유 내부로 염료의 확산 이라는 3단계 과정을 거친다.

 

( 2 )섬유 종류별 염색성 경향

1 )셀룰로오스 섬유

셀룰로오스계 섬유에는 면, , 레이온, 폴리노직, 큐프라 등이 있으며 적용 가능한 염료의 종류도 다양하여 여러 종류의 염료로 염색할 수가 있다.

2 )단백질섬유

천연섬유인 양모,견이 여기에 속하며 산성염료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염료이다. 양모의 경우, 다소 불규칙한 스케일을 가지고 있어 염료의 선정이 중요하며, 가급적 낮은 PH에서 염색을 하여야 한다.

3 )합성섬유

폴리에스터경우, 합성섬유 가운데 분자배열이 치밀하기 때문에 일반 수용성 염료로는 염착이 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분산 염료에서 염색된다. 염색은 분산염료와 PH조정제(염색 중 PH 4~5로 유지시키는 완충제)의 배합액에서 염색한다.


( 3 )염색제조 공정 ( 1.전처리 → 2.염색 → 3.후처리 → 4.검단 )

1 )전처리 공정

섬유의 불순물 및 제사시의 유제,제직시의 호를 제거하여 섬유의 흡수성과 백도를 높이고 화학조성을 균일하게 하여 염색 및 가공이 최적의 조건에서 균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

 전처리 순서 >>생지모소호발정련실켓, 머서화폭출


1모소 : 직물표면의 잔털을 탈락하여 균일하게 광택을 증진

2호발 :  직물을 제직할 때 풀을 발른 후 제거하여 염색이 깨  끗하게 되도록 공정

3정련 : 직물의 잡물을 없애는 공정

4표백 : 산화표백, 환원표백으로 희게 공정

5머서화 가공 : 광택과 염료 친화력이 증가, 폭의 치수가 안정흡습성과 강력이 증가 됨.

6폭출 : 직물의 수축을 고려하여 경위사의 밀도가 규격에 맞도록 폭과 길이를 조정


2 )
염색공정 (날염/침염)

침염 : 염색용액에 담가 전체를 염색

날염 : 직물을 부분적으로 염료를 착색시켜 무늬로 염색

 

 3 ) 후처리 공정

염색된 직물의 색상과 견뢰도를 높이는 것으로 부착된 염료를 세척해 내고 섬유속에 염착된 염료를 결정시켜 빛깔을 좋게 하는 동시에 염료가 떨어지지 않게 한다.

 후처리 순서 >>발색수세수지 광택 방축


1 발색 : 높은 온도로 건열처리하여 색을 안정

2수세 : Washing 불순물이나 직물에고착되지 않은 염료를 제거하기 위해 물세탁

3수지 : 치수의 안정성 유지, 방연방출대전방지의 목적으로 합성수지로 처리

4광택가공 :  뜨꺼운 강철에 직물을 통과시켜 표면에 고급스러운 광택을 증가, 엠보효과도 낼 수 있다.

5방축가공 : 세탁시 수축되지 않게 가공




 
4 )
검단 공정

가공한 직물지를 검사하여 말대에 감아 상품으로 출고하기 위한 단계

 


 

( 4 )수질이 염색가공에 미치는 영향

 

염색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물은 지표수, 지하수등이 있지만 이들에는 칼슘(Ca), 마그네슘(Mg), (Fe), 고형분, 유기물, 산 및 알칼리 등의 불순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불순물이 염색에 미치는 영향은 섬유의 종류, 사용하는 약제, 염료, 조제등의 공정에 따라 다르나, 변색, 오염, 촉감저하등 그 영향이 막대하므로 전반적으로 수질을 개선하는 것이 급선무이며 올바른 용수를 사용하여야 제품을 고급화 할 수 있다.

 

1 )호발, 정련 공정에 미치는 영향

Ca,Mg등의 염류가 많이 함유된 경수는 비누와 같은 세제와 반응하여 금속비누를 생성하고, 금속비누가 섬유에 부착하여 정련얼룩을 일으키며, 섬유제품의 광택이나 촉감저하를 가져오며, 초크선(chalk mark)이 발생한다. 또한 금속비누의 방수성으로 인하여 사용약제 및 염료의 침투불량으로 인한 얼룩과 금속비누화로 인한 비누손실 및 세척력이 저하된다.

 

2 )폴리에스터 섬유의 감량가공에 미치는 영향

감량 후 충분한 수세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산 처리 할 경우 흰얼룩발생, 사용된 용수가 경수일 경우 스컴(scum/거품)이 발생한다.

 

3 )염료에 미치는 영향

1직 접 염 료 : 용수의 경도가 높으면 염료는 Ca Mg과 반응하여 불용성의 침전물로 생성된 Fe,Mn,Cu등은 색상변화를 초래한다.

2산 성 염 료 : 염료의 용해도 저하 및 침전물을 발생시킨다.

3염기성 염료 : 경도가 높을 시 색소염 형성, Fe,Cu등은 색상변화 초래한다.

4환 원 염 료 : 염료 중 금속이온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거나, Ca, Mg의 영향으로 청색염료는 농도 및 마찰 견뢰도 저하용인이 된다.

5분 산 염 료 : 분산염료에는 40~60%정도의 분산제가 함유되어 있다. 이들은 Ca,Mg,Fe등의 이온들과 결합하여 불용성의 염을 형성하여 분산효과를 저하시켜 염료응집의 원인이 되어 얼룩이 발생한다. 아조계 분산염료는 용수중에 염소가 있을 경우 산화작용하여 변색이 된다.

4 )PH

아조계 분산염료는 고온고압으로 염색시 물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발생기 수소에 의하여 환원분해가 발생하고, 아조계가 안트라퀴논계보다 PH 의존성이 나빠 가수분해가 일어나며 보통 PH7정도에서도 염착성 저하 및 색상변화를 초래하고, 반응성 염료로 염색시 알칼리를 첨가하면 염료가 응집되는 경우가 있다.

 

5 )철분의 영향

염료 또는 조제와 화합하여 색상이 흐리거나, 섬유상에 반점을 생성시키기도 하고, 과산화수소 표백시 분해를 촉진시켜 섬유의 강도를 저하 또는 핀 홀 (pin hole)을 발생시킨다.

5 )용수의 조건

 

염색공정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문제점은 불균염, 오일 오염, 재현성, 마찰에 의한 섬유 손상 및 주름 발생, 세탁 및 일광견뢰도 불량, 핀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문제점은 여러 가지 요인에서 발생하는데 염색용수의 품질과 섬유의 불순물, 염료의 용해성과 염액의 준비 및 투여방법에서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또 조제 및 화공약품의 불순물, 조액의 준비 및 투여방법, 불균일한 전처리, 불충분한 수세, 적절치 못한 공정 조건 및 관리, 염색기계 및 보조장치의 적합성 등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완벽한 염색을 위해서는 전처리, 염색, 후가공 등 각공정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리스크 측정 및 관리, 불량의 최소화가 요구된다. 이는 우수한 균염성과 재현성, 주름 및 마찰방지, 견뢰도, 섬유손상방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5 )염색 견뢰도 시험

 

염색된 섬유품은 제조공정 중 또는 사용 중 용도에 적합한 성능과 사용조건에 대한 충분한 저항력 ·내구력이 요구되는데, 일광 ·세탁 ·비바람 · ·마찰 · ·염소표백 ·해수 ·드라이클리닝 등 여러 작용을 받을 경우 퇴색 또는 변색하게 된다. 이러한 외적 조건에 대한 색의 저항성이 염색견뢰도인데, 염색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가장 중요한 항목이 된다.

염색견뢰도는 염료의 성질, 염료의 염착상태, 염착량, 성질, 피염물의 표면상태, 섬유상의 가공제 등에 의해 상당한 차이가 생긴다.

염색견뢰도의 시험방법은 국제표준화기구법(ISO) · 미국규격(AATCC) ·유럽규격(ECE) ·한국산업규격(KS) ·일본공업규격(JIS) 등이 약간 차이가 있는데, 한국산업규격에 따른 시험방법의 개요는, 규정된 방법으로 시험한 결과 나타난 염색물의 변색 ·퇴색 또는 백포(白布)의 오염 정도를 판정하는 것이다.

시험에는, 일광견뢰도(내광견뢰도)시험 ·세탁견뢰도시험 ·물견뢰도시험 · 염소표백견뢰도시험 ·마찰견뢰도시험 등이 있다. 염색된 시험편의 변퇴 정도와 첨부 백포의 오염정도를 각각 표준 회색표(그레이 스케일)와 비교하여 판정한다. 결과의 표시는 1급에서 5급사이의 등급으로 표시하고 단, 일광 견뢰도는 평가방법에 차이가 있어 8급까지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광견뢰도의 시험방법은 염색 시험포를 일광과 비슷한 규정조건에 노출시켰을때 적은 시간에 변색이 일어나면 1급 오랜시간 동안에도 변색하지 않고 버틸수록 8급쪽에 가까워 지는 것이다.

 




 

▷이슈 1

말라카이트 그린

말라카이트 그린(Malachite Green, MG)은 비단, 양모, 마 등의 섬유와 가죽, 종이 등을 염색하는데 사용되는 화학물이다. 공업적으로는 디메틸아닐닌과 벤즈알데히드를 반응시켜 합성되며 물과 알코올에 잘 녹는 성질이 있다. 색깔이 청록색의 광물질인 공작석(malachite)과 비슷하여 말라카이트 그린으로 불리며 다른 이름으로는 아닐린그린, 벤즈알데히드그린, 빅토리아그린B, 차이나그린 등으로도 불리고 있다.

말라카이트 그린은 염료로 개발되었으나 염료로 사용되는 이외에도 세균과 곰팡이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수산물 양식시 물곰팡이속(saprolegnia) 곰팡이균의 발생을 억제하는데 사용되었으며, 특히 연어와 송어의 수정난에 기생하는 수생균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탁월하여 1949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연어와 송어 양식장에서 항균제로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1990년 이후 유해성이 알려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우리나라 등에서 식용 어류의 양식에 사용이 금지되었다. 하지만 열대어나 금붕어 같은 관상용 어류의 곰팡이 질환 치료제로는 아직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

 

▷이슈2

발암성 아조염료

아조염료는 색상이 화려하고 선명하여 색상관련한 업계에서 많이 쓰인 염료이다.

그러나 아조 염료가 가지고 있는 유해성 때문에 독일지역에서 가장 먼저 규제하였다.

만약 아조 염료가 들어있는 의복을 입었을 시에 염료가 땀에 의하여 인체로 흡입이 가능하며, 흡입이 되었을 때에 인체내의 효소에 의하여 아조 염료가 분해되는데, 이때 암을 유발하는 발암성 아릴아민이라는 발암성 물질이 만들어 질 수 있다.

 

 

 


'품질연구센터 > 의류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수  (0) 2012.01.26
섬유가공에 대해 알아보자~!!  (0) 2012.01.25
모피에 대해  (1) 2011.08.23
의류 섬유소재의 종류  (1) 2011.08.09
Posted by Queenie
,
1. 리더십의 법칙
 
마케팅의 기본사안은 최초가 될 수 있는 영역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더 좋기 보다는 최초가 되는 편이 낫다.
이미 시장에서 최초가 되어 있는 어떤 회사보다 당신의 회사가 더 좋은 제품을 갖고 있다고 소비자를 설득하기보다는 그들의 기억속에 최초로 들어가는 편이 훨씬 쉽다.
예를 들어 우리가 달을 최초로 착륙한 사람을 기억하지만, 두번째로 착륙한 사람을 기억하지 못한는 것 같은 이치이다.  지금같은 경쟁적 환경에서는 라인확장으로 나온 미투me-too제품이 이윤을 낳는 성공적인 브랜드가 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반면 어떤 영역에서든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리더브랜드는 거의 예외없이, 소비자의 마음속에 가장 먼저 자리잡고 들어간 브랜드이다.  이러한 법칙은 종류를 불문하고 모든제품, 브랜드, 영역에 고루 적용된다.
최초의 브랜드가 리더의 위상, 즉 리더십을 유지해 갈수 있는 이유중의 하나는 그 이름이 해당 제품 모두를 대변하는 보통명사로 자리 잡기 때문이다.  크리넥스, 스카치 테이프가 그 예이다.  

2.카테고리의 법칙

소비자의 기억속에 '최초'로 인식되지 못했다 하더라도 최초가 될수있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면 된다. 예를 들어 델DELL의 경우 경쟁이 치열한 컴퓨터 시장에 전화로 컴퓨터를 판매하는 방법을 최초로 도입, 연간 9억달러의 매출액을 올리고 있다.  새로운 제품을 출시할 때 `이 신제품은 경쟁사 제품보다 어떤 점이 더 좋은가? '가 아니라 `어떤 점에서 최초인가? ' 가 되어야 한다. 이는 다시 `이 신제품이 최초가 될 수 있는 영역은 무엇인가? ' 로 바꿔 말할 수 있다.
새로운 영역에서 최초가 되었다면 이제는 그 영역을 성장시킬 차례이다. 근본적으로 최초가 된 당신에게 경쟁자는 없다.  

3.기억의 법칙 

기억속에서 최초가 되는 것, 이는 마케팅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장에서 최초가 되는 것의 중요성은 기억속에서도 최초가 된다는 전제 하에 그 진가를 발휘한다. 반면, 일단 기억이 만들어지면 바뀌는 일은 거의 없다. 마케팅 노력중에서 가장 무모한 것이 소비자의 기억을 바꾸려는 시도다.  다른사람에게 깊은 인상을 주고 싶다면 오랜시간을 두고 그 사람의 마음속에 조금씩 다가가 호감을 쌓으려 해서는 안된다.  당신은 상대방의 마음속에  돌풍처럼 파고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애플은 소비자의 기억속에 들어가야 한다는 문제를 그 단순하고 기억하기 좋은 이름으로 해결했다.

4.인식의 법칙

마케팅의 관련자들은 객관적인 현실이 있다고 믿기에 사실에 초점을 맞춘다. 또 진실이 자기편에 있다고 쉽게 가정한다. 마케팅의 전쟁에서 이길 최고의 제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던 즈음이라면, 자기가 가진 제품이 최고라고 믿기 쉽다. 그저 자신의 인식을 조금 수정하기만 하면 되기 떄문이다.
그러나 소비자의 마음을 바꾸는 일은 대단히 어렵다. 어떤 제품영역이든 약간의 경험만 있어도 소비자는 자신이 옳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자기가 한 인식이 절대적으로는 아닐지언정 거의 틀리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일본 자동차 제조업자들은 일본에서 파는 차를 미국에서도 똑같이 팔고 있다. 하지만 판매순위는 나라마다 다르다.  이는 소비자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인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본의 소비자의 마음속에 오토바이 제조업체로 인식되어 있기 때문에 미국보다 자동차 판매율이 저조한 것이다. 확실히 대부분의 사람들은 오토바이회사에서 자동차를 사고 싶어 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자신의 인식을 활용하지 않고 다른사람이 현실을 인식한 내용을 기반으로 구매결정을 한다.  이게 바로 '모르는 사람이 없는 'everybody knows' 원칙이라는 것이다. 

5.집중의 법칙

어떤회사든 소비자의 기억속에 단어 하나를 심고 그것을 소유할 방법을 찾아낸다면 대대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다.  단순한 하나의 단어나 개념에 초점을 모으면 사람들의 마음속에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다. 예를 들어 IBM은 '컴퓨터'라는 단어를 소유하고 있다. 이 말은 곧 리더의 브랜드명이 그 영역을 대변하는 보통명사로 통용된다. 
마케팅의 핵심은 초점을 좁히는 것이다. 활동 반경을 줄이면 당신은 더욱 강해질 수 있다. '모든 것'을 좇으려다가는 결코 어느 '하나'의 대표가 될 수 없다.




-ing




 
Posted by Queenie
,

안녕하세요. ^_^
섬유소재 공부에 집중하고 있는 퀴니입니다. 

현재 롯데홈쇼핑에서 "8월의 크리스마스"라는 기획전을 하고 있습니다.
'8월의 크리스마스'를 통해 겨울상품을 시중가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여름철에 미리 준비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획전입니다.

저희센터에서는 실제 겨울철 의류중 모피나 가죽의류들이 많이 들어옵니다.
그래서 무더운 이 여름날, 고가의 수많은 모피들을 보고 있습니다.
전 평소에도 살수 없는 가격대라 눈이 호강한다고 생각하지만,
모피를 자주 만지다보면 손바닥에 땀이 차기도 합니다.^_^;; 

확실히 좋은 털을 가진 모피는 멀리서도 윤기가 남다름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눈으로만 보고 모피를 안다고 할 순 없겠죠??
자, 본격적으로 모피를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로 모피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도 배우고 있는 단계이므로 빠진 부분이나 부족한 점이 많을 것입니다.

새로운 정보가 생기는 족족, 상시 업데이트 할 예정이니 참고해주세요~

▒모피의 종류▒

모피의 종류에는 그 수가 무수히 많아, 대중적인 것 몇몇개를 짚어보겠습니다.
또 글의 내용은 여러 포털사이트를 검색하거나 현장에서 일하시는 업체분들께 모은 정보임을 밝힙니다.


1.토끼털[Rabbit]

토끼털은 크게 친칠라종렉스종이 있다. 두 종류가 모두 프랑스가 원산지이다. 프랑스산은 다채로운 염색을 통한 의류용으로 인기가 좋으며 그 중에서 Rex(렉스)는 밍크보다 색깔이 더 다양하고 털이 촘촘하여 외국에선 밍크 못지 않는 인기를 누리고 있다.

친질라종은 프랑스에서 처음 육종되었으며, 그 뒤 영국과 미국에서도 개량되었다. 이 품종은 남아메리카에 야생하는 친칠라의 모피색을 닮은 것이 특징이다. 표준종·중량종·거대종의 3가지가 있는데, 몸무게는 표준종이 약 3㎏, 중량종이 4∼5㎏, 거대종이 6∼7㎏이다. 가슴이 넓게 벌어져 있으며, 귀는 중간 크기로 곧게 서 있다. 털빛깔은 언뜻 보면 회색으로 보이나 털의 위치에 따라 색깔이 다른데,  흰색과 검은색이 섞인 희끗희긋한 색깔이다. 초식동물이기 때문에 상층모가 잘 부러지는 단점이 있으나 다른 모피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렉스종은 1919년 프랑스에서 벨지언종(Belgian) 토끼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난 것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품종으로 개량한 것이다. 한국에도 도입되어 도시 근교에서 부업으로 많이 기르고 있다. 장식용 고급모피로 인기가 있다. 몸무게 2.6-3.5kg으로 등은 암갈색이고 배는 흰색이다. 털은 짧고 밀도가 풍성하며 부드럽고 털빠짐이 적다. 또 털이 누워있지 않고 고밀도라서 털의 눌린 상태에서도 원형으로 회복이 빠르다. 비로드 모양으로 고급 모피 대용품으로 쓰인다. 


 

2.폭스[Fox]


종류로는 북반구 전반에 걸쳐 생식하는 붉은 여우, 북극지방에 생식하는 북극여우, 북미 및 중부아메리카에 서식하는 회색 여우가 야생종으로서 있다. 그러나 자연 파괴가 증가함에 따라 야생여우의 수가 해마다 감소하고 대신해서 사육이 성행하게 되었다.  주된 생산지는 유럽, 미국등이다. 그리고 현재 모피 제품으로써 압도적으로 이용되는 사육여우다. 특히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등지의 모피 사육자 간의 공동마케팅 단체로 1954년에 설립된 스칸디나비아의 SAGA모피는 전 세계적으로 여우시장의 8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갖고있다. 스칸디나비아에서 생산된 모든 원피는 코펜하겐 (D.F.S), 헬킹키(F.F.S), 오슬로(O.F.A)에서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경매를 통해 판매되고 있다.  기존에는 주로 GARMENT(의류)에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다양한 색상을 염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는 옷의 장식, 디테일등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각 종류가 다양하며 색상의 명암도에 따라서 가격 차이가 있다.
크게 Blue Fox, Silver Fox, Shadow Fox, Red Fox, Blue Frost Fox 가 있고 그 외에 Golden Island 및 Cross 종류등 다양한 자연색 여우들이 있다.

*청색여우[Blue Fox]-달빛 아래에서 청색으로 보인다는 뜻을 지닌 청색 여우는 실제로는 회색조가 강한 회색여우이다. 현재 가장 많이 사육되고 있으며 솜털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아주 부드럽고 감미로운 느낌이다.  노르웨이 산의 경우 블루가 강하고, 러시아산의 경우 브라운 색이 강한 색조를, 핀란드산은 그 중간의 색조로서 사육지역에 따라서 미묘하게 차이가 난다. 주로 염색하여 장식용도로 많이 사용되며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여우이다.

*은여우[Silver Fox]-은색으로 빛나는 윗부분의 털이 등 중간에 많이 나고 모피의 색이 전체적으로 Siver black 이며 꼬리 끝은 White 다. Red fox의 돌연변이로 80년 전부터 사육되어 왔다.  예전에 주로 Garment용도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장식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백여우[Shadow Fox]-장모 (가시털)도 연모(속털)도 부드러우며 색은 순백색 또는 연한 그레이색이다.  자연색으로도 사용되지만, 염색하여 이용되며 최근 컬러풀하고 패셔너블한 모피의 수요를 반영하여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거의 북위 55도 부근인 툰드라 지대의 산림에 생식하며 핀란드산이 최상급이다.

*적여우[Red Fox]-산지에 따라서 색조가 다르며 그것에 따라서 가격도 다르다.  그중에서도 러시아, 캄차카산의 것이 붉은 빛이 진하여 호여우라고 불려지는 세계 최고급품이다.  북미산의 것은 색조가 아름답고 사용하기 싼 것이 특징이다.  특히 알라스카산과 북서 캐나다산의 것이 최상급 품이며, 체리레드라 불려지는 색조는 캄차카산의 것과 비슷하다.  그 외에 몽고 주변의 것이 가장 좋다고 하는 아시아산, 대체로 비교적 단모로 붉고 단단한 모질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트리아산 등의 종류가 있다.

*Blue Frost Fox-Blue Fox와 Sliver Fox 를 교배하여 만들어낸 여우로서 은색과 은청색의 혼합장모를 가지고 있지만 은색으로 보이며 Blue의 부드러움과 Silver의 와일드한 분위기를 나타나는 게 특징이다.

 

3.머스크랫[Muskrat]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수생쥐의 일종으로 사향뒤쥐를 말한다. 물속에서 식물을 먹으면서 늪과 호수, 강 등에서 서식한다. 몸 색깔은 등부분이 은갈색, 적갈색, 갈색, 암갈색부터 흑색에 가까운 것까지 여러가지가 있으며 배부분은 회청색부터 회색을 하고 있다.  장모(가시털, 거친털)는 길고 광탣이 있으면 연모(속털)는 치밀하고 Silky하다. 또 밍크보다 가벼우며 밍크에서 가징 수 없는 염색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류는 야생종과 사육종이 있으며 산출량에서는 캐나다가 많으며 품질도 중국산에 비해 월등히 좋다.  최근에는 Skin으로 사용되는 것보다 Plate상태로 봉제가공하며 그것은 배부분(Bally plate)와 등부분(Back Plate로 나뉜다. 가공 및 염색은 독일이 세계에서 가장 우수하며 가격도 비싸다. 




4. 담비[Sable]


담비는 밍크와 동일한 족제비과에 속하는 동물로 모피중 가장 최고품으로 감촉과 광택이 우아하여 귀족만이 담비를 즐겼다고 한다. 그 옛날 귀족이 아닌 자가 sable모피를 입는 것은 허용되지 않았으며 만약 그 금기를 어길 경우에는 벌금을 징수 받았다고 한다.  이것은 모피의 왕자 Sable을 말하는 데 있어서 상징적인 에피소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7가지의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서 러시안 담비가 가장 최상급으로 알려져 있다. 옅은 노란색에서 짙은 흑갈색으로 다양하며 검정색이 짙을수롣 고급에 속하며 내구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또 밍크보다는 털이 더 길고 부드럽다.

*러시안 Sadle [검은단비]-사할린 시베리아 북유럽, 캄차카산의 것이 최고급으로 가장 비싸다. 은색의 가시털이 미묘한 광택을 발하게 된다.

*캐나디안 Sable[미국단비]-허드스만 Sable이라고도 불리워지며 미국 남부 캐나다 북미가 산지이며 그 중 회고급색은 차색부터 흑색까지 있다.


5.친칠라[Chinchila]



남미 안데스 산맥의 페루, 볼리비아가 시초의 원산지이지만 현재에는 북미, 유럽등 각국에서 사육되고 있으며 작은 토끼로 국내에서 판매되는 모피 가운데 가장 고가로 취급하고 있다.  털이 길고 비단과 같이 부드러운 털이 치밀하게 나있며 가지런한 것이 특징이다. 색은 전체적으로 은쥐색을 띠고 있으며 그 중 전체적으로 흰색과 쥐색의 뚜렷한 대비가 있는 것을 최상으로 친다.



6. 너구리[Raccoon]


라쿤은 북미 북동지역, 멕시코 연안 등에서 서기하는 개과의 동물로 거칠고 자연스런 느낌을 주어 주로 후드 트리밍(hood triming)으로 사용된다. 자모는 은색이 강한 흑색이며 연모(속털)은 부드럽우며 회갈색을 띄고 있다. 원산지에 따라 핀란드산, 미국산, 중국산으로 나눌 수 있다.

*핀란드산 (Finn Raccoon)-헬싱키 경매에서 주로 판매되며 품질이 아주 좋으며 가격이 비싸다. 

*미국산 (American  Raccoon)-미국 NAFA 경매에서 주로 판매되며 핀란드산보다 크기가 적고 털이 짧다.

*중국산 (China Raccoon)-핀란드산과 전체적인 느낌이나 색조는 비슷하나 크기가 작고 품질이 낮다.

 

7. 다람쥐[Squirrel]



다람쥐중에 모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유럽, 시베리아, 북해도에 서식하는 북다람쥐 종류이다.
털이 부드럽고 치밀하게 나있으며, 털의 색깔은 등 한가운데가 회색이고 복부가 백색이 일반적으로 산지에 따라 짙고 옅음의 차이가 있다. 국내보다 일본의 모피상점에서 주로 취급하며 사이즈가 작아 많은 수량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고품질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러시아산인 러시아리스(다람쥐)이며, 백색에 가까운 회색부터 흑색에 가까운 회색까지 있으며, 산출량도 세계에서 1위이다.


8. 밍크[Mink]


밍크는 식육목 족제비과로 분류되는 수륙양생의 작은 동물이다. 구분하면 야생밍크(Wild Mink)와 사육밍크(Ranch Mink)가 있으며, 거의 사육밍크가 사용된다. 야생밍크는 다른 야생동물처럼 세계각국의 여러 단체의 노력으로 철저히 보호받고 있다. 밍크사육은 약 80년쯤전 캐나다에서 시작되어 그 이후 북유럽, 북미주, 일본에서도 본격적인 양식이 행해지게 되었다. 원래의 색은 갈색으로 생식지역과 양식에 따라서 색조가 달라진다.  40년전쯤에 미국 위스콘신주의 양식장에서 돌연, 아름다운 SILVER-BLUE의 밍크새끼가 태어나 MUTATION MINK(돌연변이 밍크)라 명명하게 되었다. 그 이후 점차로 의욕적인 개량이 중요시되어 형재에는 50종 이상의 COLOR-VARIATION(색상변화)을 가지가까지 되었다. 색상에 따라서 다크 브라운에 가까운 마호가니(MAHOGANY), 짙은 은회색을 블루아이리스(BLUE IRIS), 밝은 은회색을 띠는 밍크를 사파이어(SAPPHIRE)로 분류하며 블랙 그라마(BLACK GLAMA)라벨이 붙은 블랙 밍크를 최상급으로 친다.

또 밍크는 Female(암컷), Male(숫컷)에 따라서 차이가 나는데 Female은 사이즈가 작고 촘촘한 단모때문에 털이 부드러우며 가볍고 가죽이 부드럽고 윤기가 나는 반면,  Male은 사이즈가 크고 장모가 많고 거칠며 가죽이 무거워 보온력이 뛰어나고 질기다.  암컷보다 모질의 수명이 1.5배 강하다고 할수 있다.  Female 이 Male 보다 고급으로 구분되며 면적이 작은 만큼 의류 1벌당 소요되는 수량도 Female 이 더 많으므로 Female 로 제작된 의류가 더 비싸다.  

최근에는 모피의류에 대한 다각적인 패션연구, 마케팅 및 상품개발이 활발해지면서 밍크에 대한 상품화전략이 변화함에 따라 기존 자연산 밍크(Natural Mink)에서 개발된  Sheared Mink(깎은 밍크) 및 Plucked Mink(뽑은 밍크)가 고급 시장에서 활기를 띠고 있다. 세계의 연간 공급량은 약 18,000만매 정도로 2위인 폭스(약 500만매)를 크게 앞서고 있다. 전 세계 사용량의 대부분이 Auction(경매)로 구분하며 각 경매마다 원피의 고유 브랜드가 있다. 현재 최고가로 경매되는 품목은 북미산 Black Glama, Blue Iris, White류이고 SAGA (주로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의 4개국이 생산하는 밍크, 폭스 모피양식협회)Mink 가 약 46%, 미국 14%, 소련 13%, 기타(중국, 캐나다, 일본외)라는 비율로 공급하고 있어, SAGA Mink는 세계시장의 약 반을 공급하고 있는 것이 된다.(SAGA는 폭스(Fox)에서도 세계 공급량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다.) 

밍크의 특징으로는 풍부한 자연색과 털마다 실크같이 부드러운 감촉을 주며 우아하고 고상함이 있다.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밍크는 정말로 이상적인 모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밍크의 종류

1. 산지별 Mink종류

*EUROPE MINK : 아메리칸종보다 소형으로 체장 35-40㎝ 정도로 러시아, 스웨덴, 덴마크, 헬싱키 등에서 생산된다.

*AMERICAN WILD MINK : 북미산 야생의 MINK. 대형으로 흑갈색에서 적토색까지 지역에 따라 모질, 크기에 차이가 있다.

*MUTATION MINK : 야생을 양식에 성공한 MINK. 1930년대 돌연변이로 이 품종이 생겼고 그 후 계속 개량하여 현재 60여 종의 품종이 개발되고 있다. 각국의 생산장단체는 독자적인 BRAND명을 붙여 시장에 내놓고 있으며, 스칸디나비아 3국이 총공급 량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KOLINSKY : 콜린스키라고 하는 적색밍크는 중국, 러시아, 아시아 지역에서 산출되고 있는 야생 족제비를 말하며, 모색은 황색바탕의 다색으로 면모는 부드럽고 자모는 길고 광택이 있다.


2.Color
MINK 종류

*Demi-Buff MINK :
자모는 갈색, 면모는 다갈색으로 Pastel 보다 다색이 짙은 밍크이다.
*Dark MINK :
자모는 갈색에서 농갈색, Dark Brown에서 검정색에 가까운 색까지 있으며 광택이 있다. 검정색 가까운 것이 고가이다
.
*Pastel MINK :
자모는 옅은 다색에서 진한 다색까지 있고 약간 엷은색을 띤다
.
*Sapphire MINK :
자모는 밝은 Blue Grey, 면모는 넓은 박회색의 MINK이다
.
*Violet MINK :
자모는 Blue Grey에서 엷은 제비꽃색으로 되어 있고 선모는 회백색이다
.
*White MINK :
자모는 백은이나 백색이고 모선이 약간 Cream색이다
.
*Peal MINK :
엷은 Beige색의 변색으로 자모는 푸른기가 있는 Beige, 면모는 밝은 회색이다
.
*Blue Iris MINK : Gun Metal
보다 엷은 담한 청회색이다
.
*Silver Blue MINK :
자모는 청미를 띄운 박다색이고 등은 복부보다 약간 짙고 엷은 Grey색이다.


9. 그외의 모피종 

*깃털족제비(Fitch)-러시아, 중국에서 서식하는 야생족재비과인 핏치는 털밑은 크림색이고 장모는 크림색과 갈색의 두 종류가 있다. 중국산은 흰색, 러시아산은 검정색에 가깝다. 

*비버(Beaver)-알라스카, 캐나다, 미국등에 강과 호수에서 사는 다람쥐과의 작은 동물로 장모가 딱딱하고 거칠며 밤색에서부터 검은색에 가까운 색까지 매우 다양하다. 모피로서 좋은 것은 캐나다 '케벳쿠 지방' 것이고 '라부라블 지방'에서 생산한 비버는 캐나다 개척이래 주요한 수출 품목이었다. 한 때는 난포획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했지만 지금은 보호되어 생산량도 조금씩 안정되어 가고 있다. 모피는 거친 털은 뽑고 솜털만으로 사용하여 부드러운 촉감과 우수한 내구성이 특징이다.  갈색으로 염색해서 밍크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양(Lamb)-생후 1년이내의 어린양의 모피를 램이라고 하는데 무스탕용으로 사용하는 메리노, 엔트 레피노등을 말한다. 알레스카, 캐나다, 북미등의 강, 호수에 서식하는 동물로 장모를 뽑고 속털을 깎아서 사용된다. 가공된 모피는 부드럽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고급소재로 인정받고 있다.

*알파카(Alpaca)-소목 낙타과에 속하는 알파카는 남아메리카 칠레, 페루, 볼리비아의 안데스 산맥에서 서식한다. 단일색상의 다른 동물과 달리 검은색, 갈색, 흰색 외에 여러 내추럴한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무늬가 있는 것도 있다. 보온성, 흡수성, 내구성, 통기성이 뛰어나고 실크와 같이 광택과 질감이 매우 곱고 부드러우며 정전기가 없는것이 모피와 다르다.

 *표범(Leopard)-아프리카, 시베리아, 미얀마, 중앙아시아, 스리랑카 등에서 서식하는 사나운 고양이과로 전체적으로 황색 바탕에 등중앙을 중심으로 몸 전체에 불규칙한 검은 반점이 있으며 부드럽고 매끄러운 감촉과 광택이 아름다운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남미산물쥐(Nutria)-체형이 쥐를 닮았고 물근처에 집을 짓고 수초를 먹는 야행성 동물이다. 몸길이는 90cm이상도 있으며, 방수성인 긴 장모가 두껍게 나있어 속털을 보호하고 있다. 속털은 진한 차색을 띠고 있으며 자연 그대로 사용하거나 일반적으로 장모를 뽑은 속털을 깍아 염색하여 사용하며 가공후에는 부드러운 감촉이다.

 

'품질연구센터 > 의류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수  (0) 2012.01.26
섬유가공에 대해 알아보자~!!  (0) 2012.01.25
염료의 방법과 종류  (1) 2011.11.02
의류 섬유소재의 종류  (1) 2011.08.09
Posted by Queenie
,